추세선은 언제나 주추세와 보조추세로 만들어져 있는데, 빈 공간이 발생할 경우에는 그 빈 공간만큼 다른 에너지가 개입된 것으로 본다고 했어. 

 

다시 간단하게 정리해보자. 평상적인 상황에서 추세는 보조추세선과 주추세선이 보조를 맞추며 이동하게 되어 있는데, 어느 순간 매도세가 갑자기 집중 된다던지, 혹은 예기치 않은 매수 물량이 집중될 경우에는 보조 추세선으로부터 변화가 생기기 시작한다. 일봉 한 두 개는 속일 수 있지만 전체 환경을 속이기는 쉽지 않기 때문에 추세선에서의 빈 공간은 변곡점에 대한 매우 견실한 증거가 될 수 있어추세가 일정하게 이어지다가 어느 순간 추세선이 빈 공간이 생기게 되면 그 빈 공간 만큼은 추세의 방향을 바꾸려는 에너지의 변화가 생긴 것이란 말이지. 

 


 

 

위 그림을 보자. 상승 추세라면 치켜 올리는 힘이 중요하기 때문에 아래가 주 추세선이 되고 추세의 상단이 보조 추세가 된다. 파동의 힘이 보조 추세선까지 도달하다가 어느 순간에 도달하지 못하는 모습을 볼 수 있는데, 무언가 에너지의 변화가 생긴 것으로 볼 수 있어. 분명 도달해야 하는 곳까지 가지 못했다는 것은 뭔가 도달하지 못하도록 하는 반대의 에너지가 개입했다는 말이니까~.

 

여기까지는 배운 개념인데, 지금부터 우리가 공부해야하는 것은 개입된 에너지의 크기다. 그것은 당연히 빈 공간의 크기에 비례해서 나타난다. 만약 위와 같은 모습을 한 종목이 발 아래 신뢰할만한 지지라인이 없거나 있더라도 상대적으로 빈약하다면 당연히 비중을 줄여야 한다는 말이다. 에너지론에서 학습할 것은 그 균형을 보고 미리 매수 매도의 결정을 내려야 한다는 점이다.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주가가 하락을 하는 추세대에서 갑자기 보조 추세선에 빈 공간이 생기면 그곳에서부터 뭔가 중대한 에너지의 변화가 생겼다는 것을 의미해.

 


 

 

위 그림에서 추세의 말단에서 빈 공간이 생기고 있지? 언제나 추세선에서의 변화는 보조추세선에서 먼저 생기 때문에 늘 보조 추세선을 유심히 바라볼 필요가 있는데, 그 구멍의 크기를 보고 향후 전개될 차트의 모습을 유추해낼 수 있어. 

 

그럼 실전에서 보조추세선에서의 구멍이 생기는 과정을 살펴보자. 

 


 

 

대개 유의미한 구멍이 생기면 드림팀에서도 거의 조짐을 보여준다. 하지만 지금은 드림팀 공부는 모두 마쳤으니, 오로지 에너지의 균형만 관찰할 생각이다.

 

위 차트에서 주가는 상승 추세를 보이고 있으니, 주추세선은 끌어 올리는 힘이 중요한 아래쪽 선이되고, 당연히 보조추세선은 위쪽에 위치한다. 주가 고점에서 주추세선에서는 변함이 거의 없지만 역시 보조 추세선에서부터 먼저 구멍이 뚫리기 시작하는 게 보이니? 당연히 추세를 바꾸려는 새로운 에너지의 개입이기 때문에 그 에너지가 끌어 올리려는 힘을 압도할 경우, 반전의 모습이 나타날 수 있다. 다시 말하지만 구멍이 뚫렸다고 해서 늘 하락하는 것이 아니라는 점이다. 끌어 올리려는 힘을 압도할 경우에 방향이 돌려지는 것이다.  

 

결국, 저 구멍의 크기를 보고 발 아래에 있는 지지력과 비교를 해서 잠시의 조정으로 마무리될 모습인지 아니면 적어도 2단 하락의 모습이 될 수 있는지를 계산해 내는 것이 중요하다.

 

파란색 화살표를 보면 파동으로 종가기준 전고점을 넘어섰으니 원인점이 존재한다. 나중에 절점과 원인점에 대해서는 다시 공부하겠지만 우선 5일선 아래에서 시종가가 모두 끝이 나고 시가와 종가를 수평으로 이었을 때 5일선에 닿지 않는 봉을 우선적으로 취한다면, 붉은색 화살표에 있는 봉이 첫번째 원인점이다. 양봉이기 때문에 수평선을 그어보면 아주 약하게 그 곳에서 반등이 생기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머리 위 봉들의 덩치가 훨씬 크고 6영업일 이상 횡보했기 때문에 세력이 매우 크다이런 경우에는 그 다음의 원인점인 파란색 선까지 이동할 수 있다는 계산을 해야만 한다. 물론, 그곳에서 조정이 마무리 된다는 것이 아니라 최소 2단 하락이 가능한 모습이라는 것이지. 이런 경우, 나는 "최소 2단 하락이 예상된다."라고 멘트하며, 이 때 두번 째 지지점을 "최소도달거리"라고 정의한단다. (계속~)

 

하나금융투자 CLUB 1 WM 금융센터 박문환 이사(샤프슈터)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