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는 반대의 모습을 보자.

 


 

 

주가가 하락을 한다면 찍어 누르는 힘이 중요하기 때문에 주추세선은 위쪽에 위치하고 보조 추세선이 아래쪽이다. 붉은 색 화살표를 보면, 거의 추세가 바뀌기 직전에 보조 추세선에서 커다란 구멍이 생기고 있지?

 

 구멍의 정체는 역시 보이지 않는 매수세가 출현한 것이고 그 반발하는 에너지의 크기에 의해 주가는 반전을 만들게 되는 것이다. 이런 모습이 발생하면 덜컥 매수? 아니지~즉각 머리 위 저항의 크기와 비교를 해야 한다. 

 

가장 근접한 저항은 파란색 화살표로 표시한 <들뜬 양봉>에서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3파동이 형성되지 않았기 때문에 에너지의 증폭은 없지만 이미 완성된 하락 파동 안에서는 원인점 저항을 만들기 때문에 결코 무시할 수 없는 힘을 가졌다. 그럼 이번에는 지지력의 크기를 보자. 보조추세선에서 생성된 구멍의 크기가 제법 크기 때문에 최소 2단 상승을 예측했다면 파란색 화살표를 넘어 갭저항이 있는 초록색 화살표까지 진행할 수 있다는 목표를 세울 수 있다.(최소 도달거리) 실제로 첫번째 저항에서 윗꼬리를 단 양봉이 나왔고 살짝 되밀리는 모습을 보인 이후에 다시 상승이 전개되고 있지만 계속 윗꼬리가 달려붙을 정도로 들뜬 양봉의 강한 저항을 모두 흡수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그럼 이번에는 반전의 에너지가 좀 더 오래 축적된 형태를 보자. 

 

 

 

 

주 추세선을 그려 놓고 보조 추세선을 그렸는데, 수렴하는 모습이 만들어질 정도로 하락하면서 계속 보조 추세선에서 구멍이 매우 크고 오랜 시간에 걸쳐 생기고 있다. 추세선에 뚫린 구멍의 크기에 따라서 전환의 에너지의 크기가 달라진다고 했던 것을 기억하면서 다시 보거라. 이 때 절호의 매수 타임은 물론 드림팀의 도움을 받는 것이다. 하지만 오로지 에너지의 균형만 가지고 매수 시점을 잡는다면 반드시 주추세선이 깨진 것을 확인한 이후에나 매수가 가능하다는 점도 기억해둘 일이다위 차트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주 추세선이 뚫리는 모습이 확인된 이후부터나 매수를 고려할 수 있다는 말이지.  

 

이런 경우 목표치를 어떻게 잡을 수 있었을까? 역시 차트의 균형을 볼 수 있다면 어느 정도는 미루어 짐작이 가능하다. 저항이 있을 수 있는 동그라미 구간을 보면 이른 바 들뜬 양봉이 거의 보이지 않는다. 보이는 양봉들은 대부분 5일선 아래에 감추어져 있어 힘이 약하다. 반면에 상승을 원하는 에너지는 매우 오랜 시간 누적적으로 쌓여 있었다면, 적어도 전고점을 넘을 수 있는 에너지가 있다는 판단을 출발 직후부터 할 수 있어야만 한다. 

 

하나 더 보자.

 


 

 

다시 강조하지만 진입 시기는 반드시 주추세선이 뚫려야만 매수에 진입할 수 있다는 것을 기억해두거라. 동그라미로 표시한 곳이 주 추세선을 돌파한 시점인데, 그 돌파한 시점에서의 균형을 자세하게 살펴보자.  

 

우선 가운데 있는 파란색 화살표를 보면, 들뜬 양봉이 보인다. 그것도 병립으로 서 있으니 매우 강한 저항이라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추세선이 뚫렸을 때 이미 그 저항은 돌파되었음을 알 수 있어. 그 외에 저항을 만들 수 있는 양봉들은 5일선에 뭍혀있어 매우 약하고 맨 왼쪽에 위치한 파란색 화살표 구간에서만 저항이 왕성하게 살아있지? 

 

이런 때 노련한 투자자라면 전체 차트의 균형을 본다. 상승을 원하는 누적된 에너지는 빗금친 부분이잖아? 보조추세선이 있어야할 곳과의 빈 공간만큼이 상승을 원하는 에너지니까 말이다. 그럼 이제 저항을 보자. 아무리 봐도 저항은 달랑 하나 밖에 없어. 맨 왼쪽 화살표의 들뜬 양봉인데, 일봉 저항은 3달이 한계라고 했었지? 강인한 에너지임에는 틀림이 없지만 이미 멀리 떨어져 있어 뚱뚱한 양봉으로서의 에너지는 이미 희석되어 있고 오로지 직전 고점에서의 들뜬 양봉으로서의 에너지만 남아 있어. 만약 맨 왼쪽의 뚱뚱한 양봉이 매우 가깝게 있었다면 아마도 매수를 할 지 말지를 두고 고민이 컸을 것이다. 하지만 충분히 거리가 있기 때문에 조건만 된다면 매수에 문제가 없다. 

 

이 정도 균형 감각은 차트를 보는 순간 딱 1초만에 느껴야 한다. 저항의 힘은 크지 않고 상승을 원하는 에너지는 이미 오랜 시간에 걸쳐 누적되어 있어 월등하게 크다는 것을 느낄 수 있겠니?

 

그럼 이번에는 맨 오른쪽 파란색 화살표를 보거라. 그 이전에 나왔던 다른 일봉들에 비해서 월등하게 몸체가 크지? 맨 왼쪽 파란색 화살표 구간의 저항을 넘어서기 위해 소모된, "정당한 크기의 양봉"이라는 것도 이해할 수 있겠니?

 

하나금융투자 CLUB 1 WM 금융센터 박문환 이사(샤프슈터)

 

 

+ Recent posts